카테고리 없음

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? - 단도투자

창구천 2021. 6. 6. 22:35

오늘은 내가 읽고 있는 주식 책에 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.

 

모니시 파브라이의 '단도투자'에 대해서 주식을 어느정도 경험하고 책을 통해서 주식 실력을 향상 시키고 싶은 사람이라면

 

누구라도 들어봤을 것이고 한번 쯤은 검색 해 볼 책이겠쥬?

 

단도투자란?

단도(Dhandho) : 단도는 구자르트의 언어

'단(Dhan) :  부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

따라서 단도를 직역하면 부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 = '사업'

 

단도의 또 다른 특징은 "저위험", "고수익" 원칙  즉 위험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.

 

단도투자의 의미.. 정말로 주식에 중요한 원칙으로 삼고서 투자를 해야하지 않을까요?

 

(TMI : 제가 좋아하는 또 다른 격언 --> 첫째 : 돈을 절대 잃지 말라, 둘째 : 첫째를 잊지 말라)

 

따라서 모니시 파브라이의 단도 9가지 원칙을 간략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
 

1. 새로운 사업보다 기존사업에 투자하라

개인적인 생각 --> 기존 사업에 투자하라는 의미는 기존 사업에 대한 과거 data를 기반으로 현금흐름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. 과거를 통해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면 그 확률이 높은 편이라면? 투자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이겠죠!!

 

2.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업에 투자하라

개인적인 생각 --> 아이슈타인은 지능이 높은 사람 중 가장 마지막 단계가 무엇이든 단순화 하는 사람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. 그 말처럼 투자에 대한 아이디어를 단순하게 말할 수 있는 것? 그리고 그 투자아이디어를 듣고 누구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업이라면? 시장의 관심으로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지 않을까요?

 

3. 침체된 업종의 침체된 사업에 투자하라

개인적인 생각 --> 침체된 사업과 업종이라면 기업의 내재가치에 비해 상당히 저렴하게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. 따라서 안전마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. 하지만 침체된 사업을과 업종을 분석하는 만큼 이 사업이 다시 어떤 트리거에 의해서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? 그렇기에 그 종목과 그 산업에 대해 빠삭하게 공부를 해야겠죠?

 

4. 견고한 경쟁우위, 해자를 갖춘 사업에 투자하라

개인적인 생각 --> 경제적 해자를 최준철 대표님께서 잘 설명해주셨던 걸로 기억합니다. 성을 잘 쌓고 적의 침입에 대해서 대비하는 과정이랄까? 이거를 기업으로 비교하자면 내가 투자한 기업에서 만든 상품과 기술 등이 다른 회사가 침입하기 여러운 사업과 상품 즉 초격차를 벌려 놓은 사업에 투자를 함으로써 안전하고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.

 

5. 확률이 높을 땐 가끔식, 큰 규모로, 집중 투자하라

개인적인 생각 --> 투자에 성공 확률이 높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? 큰 규모로 투자할 것인가? 아니면 적정하게 분산투자를 할 것인가? 당연히.. 큰 규모를 투자하여 큰 수익률이 얻어야 하는 것이다. 당연한거다.

 

6. 차익거래 기회에 집중하라

개인적인 생각 --> 차익거래?  거래의 차익을 통해 수익을 달성하는 거래이다. 상품 거래를 넘어서 물리적으로 공간적으로 시간적인 차익을 이용하여 돈을 버는 사업과 회사가 있다. 그런 회사에 집중하라

 

7. 항상 안전마진을 추구하라

개인적인 생각 --> 안전마진은 우리가 미래를 예측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중요한 장치이다. 투자를 하면서 느끼는 마음은 심리적인 불안감이다! 내가 투자한 금액을 다 잃어버리면 어떡하지? 그런 마음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안전마진을 확보하는 것 싸게사서 손실의 위험으로부터 최소화하는 것이다. 그러나 안전마진을 확보하려면? 공부는 무조건 해야한다.

 

8. 위험은 적고 불확실성이 큰 기업에 투자하라

개인적인 생각 --> 단도투자의 방법이 8번이 아닐까 싶다? 실패해도 손실은 적고 성공하면 수익률이 높은

 

9. 혁신 사업이 아닌 모방 사업에 투자하라

개인적인 생각 --> 혁신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. 혁신이라고 이야기 하지만 우리 눈 앞에 다가오는 경우는 드물었다? 애플 삼성전자 구글등 다양한 혁신적인 기업을 제외하고는 수 많은 기업이 혁신에 도전하였지만 실패하였다, 따라서 차용과 확장 레버리지를 통해서 확장하는 기업을 찾는 것이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 시켜주는 중요한 요소가 아닐까?

 

이렇게 단도투자 9가지 원칙을 설명해보았다.

 

저의 의견에 더 좋은 의견을 이야기해주실 분은 댓글로 담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
 

https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13746641

 

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

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의 뒤를 잇는 가치투자의 명인, 모니시 파브라이 성공하면 크게 얻고 실패해도 손해가 거의 없는 단도투자의 법칙을 소개한다 전설적인 가치투자자를 꼽으라면 누가 있을

book.naver.com